-
가족의 전통적, 현대적 개념과 일반적 특성 및 이해(머독, 레비 스트로스)가족생활교육 2023. 6. 8. 21:10
1. 가족의 전통적, 현대적 개념 분류
· 가족의 전통적, 현대적 개념 이해
- 가족은 인간이 가진 제도 중에서 가장 오래된 제도이다.
- 가족은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다.
- 사회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꾸준히 유지되고 있는 기본적(基本的,기초를 이루면서 가장 먼저 또는 꼭
있어야 하는 것)인 사회제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가족을 정의하기 어려움이 있다.
-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가족 개념 & 현대적인 가족 개념으로 구분하여 정의한다.2. 가족의 전통적 개념 이해
(1) 머독(Murdock)의 가족 개념
- 머독(Murdock, George P. 1897-1985) : 미국의 인류학자, 예일대학교를 졸업, 이곳에서 박사학위 취득.
모교에서 교수직을 담당. 참고문헌의 성격을 띤 〈민족지 지도 Ethnographic Atlas〉(1967)가 가장 중요
한 저서로 꼽힌다. 민족학학회와 미국 인류학협회의 회장을 지냈다.
- 가족(Family)은 성적 관계를 유지하는 최소한 두 명의 성인 남녀와 한 명 이상의 자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말하는 성적 관계는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관계를 말한다. 그리고 공동으로 거주하고, 경제적으
로 협동하며, 자녀를 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레비 스트로스(Levi-Strauss)의 가족 개념
- 레비스트로스 클로드(Levi-Strauss Claude, 1908-1991) : 프랑스의 사회인류학자, 구조주의 선구자
* 참고: 구조주의-문화를 하나의 체계로 보고 그 체계를 이루는 구성요소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바탕으
로 문화를 분석
- 문화체계를 이루는 요소들의 구조적 관계라는 관점에서 문화체계를 분석(예: 친족, 신화체계)
- 레비스트로스의 이론에 따르면, 문화체계의 보편적 유형은 인간 정신의 불변적 구조가 낳은 산물이다.
레비스트로스가 말하는 구조란 정신구조만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그는 친족관계, 신화에 나타나는 유형
등을 폭넓게 분석하여 그러한 구조가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견했다(브리태니커백과사전).
- 가족(Family)은 결혼으로 형성, 부부와 그들이 출생한 자녀들로 구성. 다른 근친자가 포함될 수 있다.
- 근친자(近親者) : 가까운 일가가 되는 사람. 남이 아닌 혈연적 관계 가까운 사람을 의미. 예) 조부모
- 가족구성원 : 법적유대(끈, 유, 띠, 대, 연결시키는 관계)가 형성, 경제적, 종교적, 그 외에 다른 권리와
의무, 성적 권리와 금지, 애정, 존경, 경외 등 다양한 심리적 감정으로 결합
공통점은 결혼과 혈연을 토대로 한가족의 개념 말한다. 그러므로 전통적 가족의 개념은 결혼, 혈연, 입
양 등으로 이루어진 관계자들의 집단. 함께 먹고 자고 정서적으로 교류하는 공동체 생활을 하는 집단
을 의미한다.
3. 가족의 현대적 가족 개념 이해
· 사회가 급변하면서 현대에 와서는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생겨났다.
① 이혼가족, 재혼가족, 무자녀가족, 조손가족, 결혼이민자가족, 미혼모부자가족, 기러기가족, 소년소녀가
장가족, 동성애 가족, 수정핵가족, 수정확대가족 등.
- 수정핵가족 : 부모세대와 사생활을 보장하기 위해서 같은 집이지만 위아래 층에 분리 되어 사는 가
족의 형태- 수정확대가족 : 부모세대와 근거리에서 살면서 서로 협력하고 협조하는 가족 형태
② 전통적인 가족의 개념으로서는 오늘날 이 시대에 등장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으로 개념화하
기에는 어려움이 도래하여 현대적 가족의 개념이 요청됨.(1) 외국의 현대적 가족 개념
① 미국 사회복지사협회는 가족(Family)은 자신들 스스로가 가족으로 생각하면서 전형적인 가족임무를
수행하는 2인 이상의 사람들이라고 규정.
② 아이힐러(Eichler) : 가족은 한 명 혹은 그 이상의 자녀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자
녀가 없는 부부
③ 자녀는 혼인관계에서 태어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 입양아동 혹은 배우자가 전혼에서 낳은 자녀
④ 부부는 결혼 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결혼에 근원을 두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 사실혼 관계의 부부
⑤ 거주지가 같을 수 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 도 있다 예)주말부부
⑥ 성인 간에 성관계를 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 도 있다.
⑦ 성인 간에 관계는 애정, 매력, 경건성, 경외감 같은 사회적으로 패턴화된 감정을 포함했을 수도 있
고 그렇지 않을 수 도 있다.
(2) 국내의 현대적 가족 개념
① 이효재: 일상적인 생활을 공동으로 영위하는 부부와 자녀들, 그들의 친척, 입양이나 기타 관계로
연대의식을 지닌 공동체 집단
② 유영주: 인간의 본질적 특성인 개체성과 반개체성, 즉 개인으로서의 '나'와 관계로서의 '나'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상호작용하는 생활 공동체적 집단
③ 국․내외 모두 비혈연적 관계라도 연대의식을 갖고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집단을 가족으로 본다.
즉 가족의 개념을 광의적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다.
④ 현대적 가족 개념은 사회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포괄하고자 하였다는 것이 특
징.(3) 가족의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는가의 중요성
① 우리가 가족복지를 국가적으로 시행할 때 정책을 수립한다. 이 때 가족을 어떤 개념으로 규정하느
냐에 따라 정책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
② 가족의 개념에 포함이 되지 않는 가족은 가족복지 정책에서 제외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외되고
불이익을 받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③ 또한 가족의 개념에 포함되지 않는 가족은 정상적인 가족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낙
인화가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결국 사회통합에 저해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④ 가족에 대한 광의적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⑤ 그런데 현실적으로 정상적인 가족의 개념과 다양한 형태의 가족의 개념이란 갈등이 있다. 오늘날은
다양한 형태의 가족의 개념을 수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따라 문제점도 야기될 소지는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만 옳다고 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개방적인 태도로 바라보아야 한다.4. 가족의 일반적 특성
· 가족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집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가족도 하나의 집단이기 때문이다.
· 집단 : 두 사람 이상이 어느 정도의 공동체 의식을 갖고 비교적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결합체.집단의 모습을 체계적으로 분리한 학자가 쿨리(C. H. Cooley, 1864-1929)와 퇴니스(F. J. Tonnies 1855-1936) 이다.
쿨리는 1차 집단과 2차 집단, 퇴니스는 공동사회와 이익사회로 구분하였다.
퇴니스는 구성원의 결합의지에 따라 집단을 공동사회와 이익사회 구분하였다.
쿨리는 구성원의 접촉 방식에 따라 집단을 1차 집단과 2차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가족생활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생활교육의 발달 및 장애요인(한국,미국,캐나다의 가정생활교육) (0) 2023.06.10 가족 및 가족생활교육에 대한 관점 (0) 2023.06.10 가족생활교육의 목적 (0) 2023.06.10 가족생활교육의 개념과 목적 (2) 2023.06.08 일차적 집단과 공동사회 집단 및 뷰틀러 가족 특성 (5) 2023.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