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일차적 집단과 공동사회 집단 및 뷰틀러 가족 특성
    가족생활교육 2023. 6. 8. 21:20

    · 일차적 집단과 공동사회 집단 및 뷰틀러 가족 특성

     

    1) 일차적 집단(Primary group).

     

    · 섬너(Sumner, W. G) : 미국의 사회학자. 섬너는 구성원들의 소속감에 따라 사회집단을 내집단(內集
    團)과 외집단(外集團)으로 구분.

     - 내집단 : 우리집단이라고도 함. 내가 속한 집단을 의미함. 개인이 자기 자신과 동일시하고 소속감을
    느끼는 집단.

     - 외집단 : 내가 속하지 않는 집단을 말함. 이질감을 느끼나 심하게는 적대감을 지니는 집단.

    · 쿨리(C. H. Cooley, 1864-1929) : 미국의 사회학자. 사회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사회심리학적 접근법
    을 적용하였다. 미시간 대학교에서 사회학을 가르쳤다. 1차 집단, 2차 집단으로 구분한 것으로 유명.
    그의 저서 [사회 조직](1909)에서 처음으로 1차 집단이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쿨리는 이 내집단 안에는 두 가지 형태의 집단이 있다고 보았다.
    집단을 구성원들끼리의 친밀감의 정도와 직접적으로 만날 수 있는 기회를 기준으로 해서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그것이 1차 집단과 2차 집단이다.

     - 1차 집단 : 구성원 간의 대면 접촉과 친밀감을 바탕으로 결합되어 있는 집단, 구성원들이 전인격적
    인 관계를 이루고 있는 집단. 예) 가족, 놀이집단

     

    1차 집단은 특별한 이해관계를 떠나서 모든 것을 털어놓고 대할 수 있는 가족과 같은 집단. 쿨리는
    집단이 갖고 있는 정신적인 측면을 매우 중요시 했다. 그는 충성심·정의·자유와 같은 요소를 포함한
    사회의 도덕적 합일이라는 이상은 가족이나 이웃 또는 어린이들의 놀이집단과 같은 1차 집단의 직
    접적인 관계에서 파생된다고 여겼다.

     - 1차적 집단 : 가족성원 상호간의 관계가 직접적(face-to-face), 가족성원 상호간의 관계가 친밀, 그 관
    계가 항구적으로 지속, 구성원들은 하나의 공통된 전체 속에 융합되어 우리 의식으로 강한 일체감을
    유지.

     - 2차적 집단 : 구성원의 간접적인 접촉과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적 만남을 바탕으로 결합되어 있는
    집단. 구성원들은 전인격이 아닌, 인격의 일부만을 토대로 의식적, 인위적 상호작용을 하는 집단. 어
    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적인 성격을 가진 집단. 예)회사

    - 2차 집단은 간접적 거리를 가지고 접촉하여 맺은 결합관계의 집단
    -구성원 간의 관계도 그 목적을 달성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고 깊은 관계를 맺는 일도 매우 어렵게
    된다. 예) 회사, 각종 단체

    - 이해의 필요성
    쿨리는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인간 본성과 사회질서](1902)에서 사회 집단이 유기체와 같다고 말했
    다. 이 집단 속에서 사람들은 양심과 공동체 의식을 배우게 된다고 주장했다.
    즉, 사람이 가족과 같은 1차 집단의 경험을 통해서 양심적이고 도덕적인 성숙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성장한 인간은 또 다른 1차 집단을 만들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 말의 의
    미는 1차 집단의 경험은 목적을 위해 조직된 2차 집단을 보다 더 도덕적인 집단으로 만들 수 있다
    는 가능성을 본 것이다. 그래서 1차집단인 가족과 같은 집단이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2) 공동사회 집단(Gemeinschaft, 게마인샤프트)

     

    · 퇴니스(F.J. Tonnies, 1855-1936) : 독일의 사회학자.

    ‘공동사회와 이익사회’[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Gemeinschaft and Geselschaft, 1887)라는 저서로 유명. 

    퇴니스는 구성원의 결합의지에 따라 집단을 공동사회와 이익사회로 구분

    - 공동사회 집단(Gemeinschaft, 게마인샤프트) : 구성원의 무의도적이고 본능적인 의지에 의해 자연적
    으로 발생한 집단. 이 집단은 자연발생적이고, 상호이해와 공통의 신념 및 관습이 집단 구성의 바탕
    을 이루게 된다. 이 공동사회에서 인간관계는 매우 친밀하고 영구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가입이나
    탈퇴가 자유롭지 못하다. 예) 가족, 민족, 농촌사회 등

    - 이익사회 집단(Gesellschaft, 게젤샤프트) : 구성원의 의도와 목적에 의해 선택적으로 형성된 집단.
    후천적으로 결성. 구성원의 이해관계에 따른 계약과 일정한 절차에 의해 마련된 규칙이 집단 구성
    의 바탕을 차지한다. 어떠한 결합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사회. 이익사회에서의
    인간관계는 이해 타산적이며 형식적이다. 구성원의 자유의사에 따라 가입이나 탈퇴가 용이하다.
    예) 회사, 정당, 조합 등의 집단

     

     

     

    ● 가족과 공동사회의 관계

     - 가족은 공동사회에 속한다. 공동사회는 희생사회라고도 한다.
     - 구성원 상호간의 애정과 이해로 결합되어 외부적 장애에 의해 결코 분열되지 않는 본질적 결합관계.
     - 가족원간의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정의적, 감정적 기초로 성립되는 관계
     - 사람은 태어나서 즐거움과 슬픔을 가지고 공동사회 속에서 살아간다. 그 이후에 이익사회로 들어가는
    것이 마치 미지의 사회와 미지의 세계에 들어가는 것과 같이 생각한다.
     - 공동사회는 연속적이고 진정한 공동생활이며, 이익사회는 다만 임시적이고 외양적인 생활이다.
     - 공동생활을 위해서는 공동 사회 자체가 하나의 살아있는 생명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고 반면에 이익
    사회는 기계론적 집합체 또는 인공적인 산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퇴니스가 내린 정의
     ① 공동 사회는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소속되어서 모든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는 진정한 공동생활
    이 가능한 살아있는 집단. 본질의 의지이며, 현실적이고 자연적인 특성이 있다. 인간이 자연스럽게 갖
    게 되는 의지 이다.
     ② 이익사회 : 사람들이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낸 인공적이고 기계적인 집단. 교환이 대표적인 이익 사
    회적 행위이다. 이 교환은 계약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선택의지이며, 관념적이고 인위적인 특성, 무엇인
    가 의도적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의지 이다.
      - 대표적인 공동 사회란 바로 가족이다.
      -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라고 불리는 작은 도시도 공동 사회적 특징을 갖고 있었다.
      - 그런데 현대 대도시들은 공동 사회적 인간관계보다는 주로 상업적 정치적 집단으로 변해가고 있다고
    퇴니스는 강조하였다.
      - 그러므로 공동사회의 집단을 추구하는 것이 전체적인 사회를 더 밝고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3) 가족은 폐쇄집단(closed group)
     - 구성원이 되기 위한 자격의 획득이나 포기가 용이하지 않은 집단.
     - 개인은 누구나 원한다고 해서 특정 가족의 구성원이 될 수도 없는 것,
     - 특정 가족의 구성원으로 태어난(혈연) 다음에는 그 가족관계를 쉽게 버릴 수 없다.

    4) 가족은 형식적 집단(formal group)이나 가족관계는 비형식적 (in-formal)
     - 형식적 집단 : 객관적 조직과 특정한 관습적 절차 체계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행동이 통제되는
    집단.
     - 가족은 결혼이라는 법적 절차에 의하여 부부관계를 성립하므로 이러한 관계에서는 형식적이고 제도적
    인 집단.
     - 가족관계의 비형식적 - 가족원 상호간의 관계는 자유스럽고 솔직하며,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다.
     - 인간적 감정으로 연결되어 있는 비형식적 관계이다. 그래서 비교적 자유로운 관계를 형성 유지한다.

    5) 뷰틀러(Beutler)가 제시한 가족 고유의 특성
     - 세대관계를 포함하며 가족관계는 영속적이다. 1,2세대를 포함하면서 그 관계가 영속적이란 의미이다.
     - 가족 성원은 역할에 기초한 부분적 관계에 그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역할에 기초한 관계이면서 부분적이다. 

    학교생과 교사로서의 관계로서만 형성된다. 가족관계는 부분이 아니라 전인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 가족에서 일어나는 과정은 동시 발생적 경향이 있으며 종종 역할 긴장을 일으킬 수 있다. 역할에 따른
    기능이 찾아오기도 하는 것이다.
     - 성원 간의 관계는 이성적(理性的) 측면보다 감정적(感情的) 측면이 강한다. 친구, 동료, 이웃에 대한 관
    계에서 갖는 감정과는 질적, 양적으로 차이가 있다.
     - 의식주 및 안전과 같은 객관적·양적 생존 목표 이외에도 주관적, 질적이며, 종종 잠재적인 목표를 중시
    한다. 예를 들어 단지 먹고 자는 것만 아니라 행복한 삶을 풍성하게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의미이
    다. 구성원 개인이 원하는 것을 목표로 삼기도 한다.
     - 성원 간의 관계는 통제나 관리보다는 양육과 돌봄(care)에 기초한다.

    예를 들면 자녀를 양육하고 노인을
    부양하기도 한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