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생활교육의 발달 및 장애요인(한국,미국,캐나다의 가정생활교육)가족생활교육 2023. 6. 10. 21:16
1. 가족생활교육의 발달과 역사
1) 가족생활교육의 발달 - 북미의 가족생활교육의 발달
북미는 정치, 경제, 사회 등의 측면을 기준으로 할 때 미국과 캐나다, 즉 앵글로 아메리카를 가리킨다.
(1) 미국의 가족생활교육
① 미국의 가족생활교육
- 1895년에 가정학이 미국의 16개 주에서 대학의 정규과목으로 채택되었으며, 1896년에 미국 유타주(州)의 Brigham Young 아카데미(현, 브리검 영대학교, Brigham Young University)에서 가족생활과 관련된 광범위하고 다양한 주제를 학생, 일반 시민들을 상대로 연속강좌 제공
② 미국의 가족생활교육의 내용
- 미국의 가정과 가정문화 동료애, 아동 특성, 부모의 영향, 아동기 조기 교육의 장점, 아동의 권리, 아동의 건강, 아동을 위한 종교적 이념, 국가의 희망으로서의 아동, 아동과 놀이, 실내 인테리어, 재정관리 등.년대 특징 교육내용 1900년 이후 - 가족생활교육의 정의
- 교육내용이 확대- 많은 학자들에 의해 가족생활교육에 대하여 다양하게
정의1900년 이후 - 가족생활교육은 현재 및 미래의 가족구성원으로서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키울 수 있는 내용으로 확대 - 가족생활교육은 자신의 가족에서의 독특한 역할에
부여되는 문제들을 건설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인
의 능력을 키우는 것에 초점을 맞춘 내용으로 구성1960년 이후 가족생활교육의 개념 확대 - 데이트, 결혼, 부모역할과 관련된 태도, 기술, 부모자녀관계, 부부관계, 남녀관계 등. 가족의 형성과정과 부모의 역할 그리고 상호관계를 맺는 기술까지 확대
- 새로운 가족변화에 맞춘 역할과 기능을 교육하였다.
즉 새로운 가족변화에 따른 각 가족 구성원인 배우자, 부모, 형제, 조부모 등이 감당해야 할 역할을 교육
- 다양한 가족관계 형성에 대한 내용들을 교육
- 가족구성원 각자의 연령에 맞는 개인의 욕구와 사회적 측면에 대한 연구와 교육이 포함
- 사람들에게 타인과의 관계를 맺거나 생활에서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 개인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기술을통해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는 모든 교
육적 행동까지 영역이 확대③ 미국의 가족생활교육의 발전 내용
- 개인과 가족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교육내용으로 한다.
- 문제해결을 돕기 위해 개인의 잠재력을 계발하고 강화시키는 평생교육을 의미를 포함한다.
- 공교육기관에서뿐만 아니라 평생교육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을 의미를 포함한다.
- 교육대상은 아동에서 노인까지 모든 연령을 포함
- 오늘날 미국의 가족생활교육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가정학, 보건학, 사회학, 심리학, 상담학, 생리학, 인류학, 역학, 법학, 종교학, 사회복지, 역사학, 경제학, 신문방송학 등)
- 내용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결혼 전 교육, 결혼향상, 부모교육, 성교육, 재정관리, 시간관리, 분노조절, 스트레스 감소, 의사소통 및 갈등 해결 등으로 확대)(2) 캐나다의 가족생활교육
1964년 첫 시작은 가족 분야의 지도자들이 모여 가족에 관하여 첫 번째로 열었던 학회로 에서 의견이 제시되었으며, 이것을 계기로 바니어 가족연구소(Vanier Institute of the family)가 설립되어 본격적인 가족생활교육에 대한 기관의 발전한다.이곳에서는 가족생활에 대한 연구와 학문을 장려하고 가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주된 연구자료는 다양한 질적 연구와 양적연구를 시도한다.
년대 특징 특징 1964 가족 분야의 지도자들 학회개설 가족연구소(Vanier Institute of the family)가 설립되어
본격적인 가족생활교육에 대한 기관의 발전1970 가족생활교육사 자격 제도 마련. 자격에 대한 자격제도를 1970년부터 시작 가족생활교육 전문가 자격조건
- 인간으로서 또한 전문가로서의 지각의 깊이,
- 인간적 성실성, 교수방법의 유연성,
- 인간조건에 대한 민감성의 인식,
- 인지적으로뿐만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성장에 대한 확신.1993 캐나다 가족지원부가 가족생활교
육에 대하여 적극성을 보임.- 가족생활교육 전문가를 위한 ‘Putting family first’ 자료집 발간. 캐나다의 가족생활교육의 발전 내용에서 캐나다의 가족생활교육 업적으로 가족들의 현재 욕구나 흥미에 기초 하여 캐나다 가족들의 문제 해결을 돕고, 가족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궁극적으로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
가족생활교육에 대한 효과를 인정하면서 더욱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음.
2) 가족생활교육의 역사
(1) 북미 가족생활교육의 역사
① 가족향상 프로그램
문제가 발생한 뒤에 개입하는 치료와 구별하기 위하여 초기 가족생활교육 전문가들은 정상적이고 안정된 지위로부터의 성장을 의미하는 ‘향상(enrichment)’ 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그래서 가족향상프로그램이란 이름으로 실시되었다.
② 성장의 이론적 배경
· 1950~1960년대에 유행했던 집단역학과 인본주의 심리학,· 1960~1970년대에 유행했던 심리극, 인간잠재성향상프로그램, T집단, 감수성 훈련집단
· 1960년 초 : 결혼 상담전문가인 데이비드와 베라 메이스 (David & Vera Mace) 부부가 미국 남동부에 있는 노스캐롤라이나의 동부해안 지역에 전파, 가족향상 프로그램의 발달은 노스캐롤라이나 이 지역을 중심으로 활성화가 이루어졌다.
· 1961년 : Otto F. Kernberg(1976)는 1961년에 ‘인간의 잠재력’이라는 개념을 추가.
· 1947년 : 가족생활교육에 대한 개념적변화가 일어난다. 메인(Maine)주의 벧엘(Bethel)에 있던 전국 훈련연구소(National Training Lab)에서 불기 시작한 ‘민감성’에서 ‘만남(encounter)’으로 또한 ‘인간 잠재력’에서 ‘만남’으로의 개념적 철학적 경향이 나타남.
· 1950년대 후반부터는 이러한 개념들이 캘리포니아의 에살렌(Esalen)을 중심으로 서부 해안지역으로 퍼지게 되었다.
이러한 개념에 만족하지 않고 Otto(1976)는 1961년에 ‘인간의 잠재력’이라는 개념을 추가한 것이다.
· 1964년 : Mace의 제자인 Leon Smith가 감리교에 고용되면서 노스캐롤라이나의 패이트빌에서 목사 부부들을 교육한 것이 시발점
· 1960년대 중반 : 몇 몇 종교집단에서 결혼과 가족향상 프로그램을 시작
· 1965년 : 연합감리교 재단에서 미국의 여러 주에‘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National Marriage Communication Lab Training Program)’ 이라는 지도자 훈련을 지원
본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하여 다양한 종교단체에서 가족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당시 가족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 : 가족향상이 지나치게 종교적이다. 래서 오늘날에는 종교단체 외에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이후 샬럿(Charlotte)에 있는 가족과 아동국, 윈스톤-샬렘에 있는 교회 미국 모라비아교단이렇게 세 곳(모두 노스캐롤라이나에 위치)에서 가족향상지도자(Family Enrichment Leader)를 위한 첫 번째지도자 강습회를 열었다.
· 1966년 : Clark Vincent와 후임인 Marvin Sussman, 워크포레스트 대학의 의과대학 내의 행동과학센터 (현재는 Medical Social Science & Mental Heath로 바뀜)에서 가족향상 프로그램을 시도함. Clark Vincent와 후임인 Marvin Sussman에 의해 이러한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여기에 참여자로는 ACME(Association ofCouples for Marriage Enrichment)의 설립자인 Vera Mace 부부가 참석한다.
1973년 : Vera Mace 부부에 의해 설립된 ACME(Association of Couples for Marriage Enrichment)는 2002년 현재 미국 50개 주와 세계 31개국에 지부를 결성하고 있다. 이곳의 내용은 부부관계의 강화, 개인적 성장과 향상, 상호만족과 가족의 복지를 위한 자원과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여 매년 국제결혼향상협의회(International Marriage Enrichment Conference)를 개최하며, 두 달에 한 번씩 소식지를 발간하여 전 회원에게 우송하고 있다.
· 1973년 : R. Smith와 M. Keister는 그레스버러에 있는 노스캐롤라이나대학에서 결혼과 가족향상을 위한 연구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1977년 : Laurel Ridge의 주도하에 제 2차 지도자 훈련(supervised practicum)을 실시. 이때 미국 전역의 사람들이 연수를 받음.
· 1970년대 후반(17개)과 1980년대 초반(18개)에 많은 양의 논문들이 학술잡지에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 1970년대 후반 : 미네소타대학에서는 미네소타 부부의사소통 프로그램(Minnesota Couple Communication Program)을 개발하였으며, 현재는 부부의사소통 프로그램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시행되고 있다. 플로리다대학에서는 Carl Clarke에 의해 긍정적 접근법(Positive approach)이라는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2) 우리나라 가족생활교육의 역사
년도 특징 내용 1970년대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다양한 사회단체에서 가족생활교육이 이루어졌다. 미혼여성과 예비신부들을 대상으로 요리, 예절,
살림살이와 부덕 등의 일반 교양교육과 가정관
리, 결혼관의 내용1980년대 종교기관이 가족생활교육에 참여. 1990년대 이후 국가의 경제발전에 힘입어 개인과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가족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차원의 가족생활교육
에 대한 관심이 구체화되었다.1999년 이후 가족학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해서 소규모의 인원을 대상으로 여러 형태의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제안되고 실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편모가족, 신혼부부 및
부부, 중년 며느리, 노인 및 노부모, 부모교육 등현재 다양한 집단에서 가족생활교육이 실시되고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현재는 대학부설의 평생교육원이나 사회교육원 및기타 연구소를 중심으로 대단위 강좌가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전문가 강사들의 강연 중심으로 이루어져있다.문제점으로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가족생활교육 프로그
램에 대한 개념 정의나 적용 문제 등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간의 기본적인 합의 없이 각 연구자에
의해 개념이 정의되고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우리나라 가족생활교육의 기본적인 틀은 NCFR과 Arcus, Schvanevldt와 Moss(1993)의 이론적 틀을 중심으로 이루어짐. 운영 면에서는 Mace(1975)의 Association of Coulpes for Marriage Enrichment(ACME)에서 주장하는 가족향상(family enrichment)의 개념적 틀을 적용. 그러나 상대적으로 ACME의 다양한 기술과 진행과정에서의 다양한 정보는 실제 우리나라의 여러 프로그램에서는 간과되고 있을 뿐 아니라, 가족생활교육 자료집에서조차 많이 소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가족향상의 이론적 모델로는 가족성장 모델, 가족소통모델, 기술 중심 모델, 종교적인 모델, 여가와 사교 중심 모델을 중심으로 활성화 하고 있다.
5가지 형태의 가족향상모델 특징 가족성장 모델 가족이 발달/변화할 수 있도록
가족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집단과정을 장조가족소통 모델 의사소통기술과 갈등해결기술을 중심으로 한 기술 모델 기술중심 모델 실습을 통한 기술을 가르침 종교적 모델 설교적이며 종교적인 내용에 기초함 여가/사교 중심모델 가족은 서로 나누고, 즐기고, 오락을 통해 강해진다는 데 기초함 '가족생활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저출산 현상, 문제) (0) 2023.06.10 사회의 변화에 따른 필요성 - 한국 사회의 변화 (1) 2023.06.10 가족 및 가족생활교육에 대한 관점 (0) 2023.06.10 가족생활교육의 목적 (0) 2023.06.10 가족생활교육의 개념과 목적 (2) 2023.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