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변화하는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교육(이혼가족, 재혼가족 생활주기)
    가족생활교육 2023. 6. 17. 22:10

     

    2. 변화하는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생활교육

     

    1) 이혼가족의 생활주기


    가족은 이혼을 하는 과정과 그 방법에 따라 그 후유증이 매우 심하고 회복과 적응의 정도가 달라진다.
    이혼과정 전반에 가족이 실천해야 하는 중요한 정서적 과제가 있다. 이러한 정서적 문제를 잘 해결하지 않으면 많은 문제를 후에 야기한다. 특히 자녀의 건강한 성장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① 이혼결정단계
    태도 : 부부간의 긴장관계가 지속되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수용
    과업 : 결혼 실패를 초래한 자신의 잘못을 수용


    ② 가족해체 계획단계
    태도 : 모든 가족구성원을 위해서 할 수 있는 일들을 준비를 한다.
    과업 : 확대가족과 이혼문제를 다룬다. 친권 및 양육권, 면접교섭권, 경제문제에 대하여 협력한다.


    ③ 별거단계
    태도 : 협조적 공동부모관계를 지속하고 자녀에 대한 재정원조를 함께 한다. 배우자에 대한 감정을 해결 하기 위해 노력한다.
    과업 : 함께 살아온 가족구성원의 상실을 슬퍼한다.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 및 재정문제를 재구조화 하고 별거에 적응한다. 본인의 확대가족과의 관계, 배우자의 확대가족과의 관계를 재조정, 재정립한다.


    ④ 이혼단계
    태도 : 정서적 이혼을 위해 더 노력하고, 상처, 분노, 죄의식을 극복한다.
    과업 : 원가족 상실을 슬퍼하고 재결합에 대한 환상을 버린다. 결혼에 대한 희망, 꿈, 기대들을 회복한다.
    확대가족과 관계를 유지한다.


    ⑤ 이혼 후 단계
     - 한부모(자녀양육하는) 태도 : 재정적 책임감의 유지, 전 배우자와 부모적 접촉, 전 배우자의 자녀와 그 가족과 지지적 접촉을 한다.
    과업 : 전 배우자와 그의 가족들의 방문을 융통성있게 허용한다. 자신의 재원을 재구축한다. 자신의 사회적 관계망을 재구축한다.
     - 한부모(자녀양육하지 않는) 태도 : 전 배우자와 부모적 접촉을 유지, 자녀에 대해 보호적 부모관계를 유지하려는 의지를 갖는다.
     - 과업 : 자녀와 효과적 부모관계를 지속하는 방법을 찾는다. 전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재정적 책임감을유지 자신의 사회적 관계망을 재구축

     

     * 부모의 이혼 후 자녀의 성공적인 적응은 양쪽 부모와 모두 관계를 유지하고, 양육과 재정문제에 함께 협력할 때 가능하다. 

     -  이혼한 부모간의 수준 높은 의사소통, 상호 신뢰, 협력관계 등이 형성되도록 가족생활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2) 재혼가족의 생활주기


    ① 새로운 관계의 시작 단계
    태도 : 첫 번째 결혼의 상실의 회복한다.
    과업: 결혼과 가족을 형성하기 위해서 재헌신하며 이를 위해 복잡성, 모호성 등을 다룰 준비를 한다.


    ② 새로운 결혼생활과 가족에 대한 개념화와 계획 단계
    태도 : 자신의 두려움 및 재혼과 복합가족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새 배우자 및 자녀의 두려움을 수용.
    과업 : 새로운 관계에서 개방적 태도로 가식적 관계를 피한다.
     - 전 배우자와 협력적 재정 및 공동 부모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 두 개의 가족체계 내에서 겪는 두려움 충성심에 대한 갈등, 멤버십을 다룬다.
     - 새 배우자와 자녀를 포함한 확대가족과의 관계를 재조정한다.
     - 전 배우자의 확대가족과 자녀와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③ 재혼과 가족의 재구성 단계
    태도 : 전 배우자와 이상적인 ‘완전한’ 가족에 대한 생각을 최종적으로 정리한다.
    과업 : 새 배우자와 계부모를 포함할 수 있는 가족 경계선을 재구성한다.
    친부모(비양육부모), 조부모, 다른 확대가족과 모든 자녀와의 관계를 위한 공간을 마련한다.
    * 재혼가족은 구조, 기능, 가족관계, 정서적 측면에서 초혼가족과는 다른 특징과 발달단계를 갖는다.
    이에 따른 가족생활교육은 재혼가족이 행복한 가족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초석이 될 것이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