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화하는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교육(이혼가족, 재혼가족 생활주기)가족생활교육 2023. 6. 17. 22:10
2. 변화하는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생활교육
1) 이혼가족의 생활주기
가족은 이혼을 하는 과정과 그 방법에 따라 그 후유증이 매우 심하고 회복과 적응의 정도가 달라진다.
이혼과정 전반에 가족이 실천해야 하는 중요한 정서적 과제가 있다. 이러한 정서적 문제를 잘 해결하지 않으면 많은 문제를 후에 야기한다. 특히 자녀의 건강한 성장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① 이혼결정단계
태도 : 부부간의 긴장관계가 지속되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수용
과업 : 결혼 실패를 초래한 자신의 잘못을 수용
② 가족해체 계획단계
태도 : 모든 가족구성원을 위해서 할 수 있는 일들을 준비를 한다.
과업 : 확대가족과 이혼문제를 다룬다. 친권 및 양육권, 면접교섭권, 경제문제에 대하여 협력한다.
③ 별거단계
태도 : 협조적 공동부모관계를 지속하고 자녀에 대한 재정원조를 함께 한다. 배우자에 대한 감정을 해결 하기 위해 노력한다.
과업 : 함께 살아온 가족구성원의 상실을 슬퍼한다.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 및 재정문제를 재구조화 하고 별거에 적응한다. 본인의 확대가족과의 관계, 배우자의 확대가족과의 관계를 재조정, 재정립한다.
④ 이혼단계
태도 : 정서적 이혼을 위해 더 노력하고, 상처, 분노, 죄의식을 극복한다.
과업 : 원가족 상실을 슬퍼하고 재결합에 대한 환상을 버린다. 결혼에 대한 희망, 꿈, 기대들을 회복한다.
확대가족과 관계를 유지한다.
⑤ 이혼 후 단계
- 한부모(자녀양육하는) 태도 : 재정적 책임감의 유지, 전 배우자와 부모적 접촉, 전 배우자의 자녀와 그 가족과 지지적 접촉을 한다.
과업 : 전 배우자와 그의 가족들의 방문을 융통성있게 허용한다. 자신의 재원을 재구축한다. 자신의 사회적 관계망을 재구축한다.
- 한부모(자녀양육하지 않는) 태도 : 전 배우자와 부모적 접촉을 유지, 자녀에 대해 보호적 부모관계를 유지하려는 의지를 갖는다.
- 과업 : 자녀와 효과적 부모관계를 지속하는 방법을 찾는다. 전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재정적 책임감을유지 자신의 사회적 관계망을 재구축* 부모의 이혼 후 자녀의 성공적인 적응은 양쪽 부모와 모두 관계를 유지하고, 양육과 재정문제에 함께 협력할 때 가능하다.
- 이혼한 부모간의 수준 높은 의사소통, 상호 신뢰, 협력관계 등이 형성되도록 가족생활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2) 재혼가족의 생활주기
① 새로운 관계의 시작 단계
태도 : 첫 번째 결혼의 상실의 회복한다.
과업: 결혼과 가족을 형성하기 위해서 재헌신하며 이를 위해 복잡성, 모호성 등을 다룰 준비를 한다.
② 새로운 결혼생활과 가족에 대한 개념화와 계획 단계
태도 : 자신의 두려움 및 재혼과 복합가족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새 배우자 및 자녀의 두려움을 수용.
과업 : 새로운 관계에서 개방적 태도로 가식적 관계를 피한다.
- 전 배우자와 협력적 재정 및 공동 부모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 두 개의 가족체계 내에서 겪는 두려움 충성심에 대한 갈등, 멤버십을 다룬다.
- 새 배우자와 자녀를 포함한 확대가족과의 관계를 재조정한다.
- 전 배우자의 확대가족과 자녀와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③ 재혼과 가족의 재구성 단계
태도 : 전 배우자와 이상적인 ‘완전한’ 가족에 대한 생각을 최종적으로 정리한다.
과업 : 새 배우자와 계부모를 포함할 수 있는 가족 경계선을 재구성한다.
친부모(비양육부모), 조부모, 다른 확대가족과 모든 자녀와의 관계를 위한 공간을 마련한다.
* 재혼가족은 구조, 기능, 가족관계, 정서적 측면에서 초혼가족과는 다른 특징과 발달단계를 갖는다.
이에 따른 가족생활교육은 재혼가족이 행복한 가족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초석이 될 것이다.'가족생활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생활주기 개념 및 역사적 동향, 가족생활주기의 단계 이해와 그 과업 (0) 2023.06.17 가족기능의 변화에 따른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경제적, 정서적) (1) 2023.06.13 가족구조의 변화(이혼가정, 재혼가정, 다문화가정) (0) 2023.06.13 가족생활교육에 따른 접근(생태학, 갈등, 가족발달 등) (0) 2023.06.13 가족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다문화 자녀 인구의 증가) (0) 2023.06.13